본문 바로가기
투자 소식

한국은행 금통위 기준금리 3.5%로 6번 연속 동결

by SHARESU 2023. 10. 19.

 

 

한국은행-기준금리-금통위
대한민국 기준금리 추이

오늘 한국은행에서 큰 발표가 하나 있었는데 바로 주식시장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기준금리 발표예요 이번 금리 동결은 올해 1월에 금리를 25bp 올려서 3.5%가 된 이후로 2,4,5,7,8월에 이어 6번째로 금리를 동결했어요 현재 우리나라는 가계부채가 빠르게 늘고 있고 원/달러 환율도 1350원을 넘어 1400원을 향해가고 미국의 기준금리가 현재 5.5%로 우리나라보다 2%나 높은 점 등 금리를 인상할 요인이 분명하지만 최근 우리나라의 경제가 소비 부진과 중국을 포함한 주변국들의 성장 또한 둔화되고 있고 우리나라 대출의 대부분은 변동금리이기 때문에 금리를 높일 시 금리 변화가 이자율에 즉각 반영되기 때문에 금리를 높이기 어려운 상황이라 올리지 않은 것으로 예상돼요 그렇다고 경기 둔화로 인해 금리를 낮추기에는 현재 가계부채가 빠르게 늘고 있고 금리 동결이 발표된 10월 19일(목) 오늘 원/달러 환율이 1363원으로 11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금리를 내릴 수도 없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요 이번 금리 동결의 이유로는 '물가 상승률의 둔화 속도가 생각보다 더디다'는 이유로 현재의 고금리 상황을 유지시켜야 한다는 이유를 달았고 이스라엘과 하마스 사태로 국제 유가가 불안으로 물가의 상방 리스크도 커졌다고 언급했어요  

 

미국기준금리-한미기준금리-한국기준금리-연준
한미 기준금리 추이

2021년부터 우리나라와 미국의 기준금리 추이인데 보통은 우리나라가 기준금리가 높은 모습을 보여주는데 코로나 이후로 미국 연준에서 금리를 0.5%씩 올리는 빅스텝과 0.75%씩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통해서 2022년 금리가 역전되었고 2023년에는 우리나라가 앞서 언급한 소비 부진, 성장 둔화로 인해 금리를 올리지 못한 사이 미국에서는 베이비 스텝으로 금리를 올리면서 우리나라와 미국의 금리 차이가 2%까지 벌어지게 되었어요 이렇게 한미 금리가 차이가 벌어지게 될 경우 투자자들이 더 높은 수익률을 쫓아서 투자 자금이 외국으로 빠지게 되고 원화의 가치가 하락할 우려가 있어요 실제로 8,9월 외국인 증권(주식+채권) 자금이 31억 달러 이상 순유출 됐다고 해요 이런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가 미국을 따라서 금리 인상을 하거나 미국이 금리를 낮춰야 하는데 미국의 경우 현재 실업률이 낮고 경제 성장률 또한 주요국 대비 높은 편이고 이번 이스라엘과 하마스 사태로 유가가 상승할 경우 지금도 쉽지 않은데 연준이 원하는 물가 상승률 2%에 도달하기보다 오히려 인플레이션이 다시 살아날 수 있어서 미국의 금리 인하는 쉽지 않을 거 같아요 그러면 우리나라가 금리 인상을 해야 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이 낮은 편이고 가계부채 또한 높은 편이라 금리를 낮출 수도 높일 수도 없는 한국은행의 고민이 커질 거 같아요 

 

 

반응형